생각 6

사랑의 기술 에리히프롬

여러분들은 각자 추구하는 최고의 행복이 무엇인가요? 누군가는 돈, 누군가는 권력, 누군가는 성취, 각자 다를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에게 있어서 단연 최고의 행복은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가정을 이루고, 인생을 같이 걸어 나가는 것입니다. 그것이야말로 저에게 있어서는 인생을 깊게 사는 방법이거든요. 제가 이 책을 읽고 완벽하게 내용을 완벽하게 설명할 수는 없겠지만, 단연 요즘 청년들이 읽는다면 정말 좋을 책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요즘, 청년들이 참 힘든 것 같습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지난 4년 동안의 물가상승률과 청년실업, 코로나로 인한 디지털화, 20년 동안 올라야 할 집 값이 단 5년 만에 치솟았습니다. 학창 시절, 선생님께서 꿈을 적어서 제출하라고 한 적이 있죠. 그때 평범하게 결혼하고 가정..

생각 2022.02.11

아름다운 순간

아름다운 순간은 항상 왜 순간일뿐일걸까. 그런 아쉬움이 있다. 길을 걷다 우연히 건물사이로 들어온 햇살이 나를 쬐었을 때, 은은히 퍼지는 행복이란 그 날 하루를 기분 좋게 만든다. 귀가길 버스에서 차창 밖에 보이는 아름다운 야경은 그 날 밤, 내일을 기대하게 만든곤 한다. 아름다운 순간은 평생 기억에 남아 나를 이룬다. 나는 몇 가지 원칙을 세웠다. 1.세상을 잘 살아가기 위해선 여러 가능성을 두고 길을 잃는 철학자가 되어서는 안된다. 가능성과 확률을 혼동해선 안된다. 2. 현실을 최대한 수용해야한다. (극 사실주의자가 되어야 한다.) 꿈 + 현실 + 결단력 = 성공적 인생 3. 훌륭한 선택의 과정은 배움 이후의 결정이다. 4. 논리, 이성, 상식은 현실을 종합하고 대처할 수 있는 최고의 도구이다. 5...

생각 2022.02.06

겨울이 지나가고

유독, 나에게 겨울은 특별하다. 마음이 풍족해지는 시기라고 할까. 본질적인 것에 초점을 두고 많은 생각들이 떠오른다. 더운 여름날에는 몸이 녹아버려서 일까, 더위를 피하고 싶다는 생각만이 가득차는데, 겨울은 살을 에는 추위가 마냥 싫지만은 않다. 뽀드득 뽀드득 눈을 밟는 그 감촉과 소리가 좋아 미소를 짓곤 한다.(허허) 수 많은 사람들의 발에 밞히고 까만 때가 묻어도, 햇살을 받으면 어김없이 빛나는 눈들을 보고 있노라면, 이 겨울도 지나가겠지 하고 생각한다. 기분 좋은 추위다. 내 뺨을 날카롭게 스쳐가는 바람과 얼어버린 것 같은 귀. 그럼에도 마음은 따뜻한 그런 날. 지금까지 쓴 글들을 끝까지 읽어준 사람은 몇 없겠지만, 너무 내 기분이 왔다갔다하는 게 아닌가 생각할 수 있겠다 ^_^; 사랑하는 수 밖에..

생각 2022.02.06

흘러가는 저 강물처럼

자유는 견디기 어려운 고독과 통렬한 책임을 동반한다. 에리히프롬은 지난한 과정을 거쳐 자유를 획득한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바람직한 사회가 된다고 한다. 자유를 깡그리 바치고 권위에 맹종한 극단적인 사례가 나치정권이다. 나치정권의 추종자들의 대부분은 소상인,장인, 사무직근로자들이었다고 한다. 자유를 버리고 복종을 선택한 이들의 공통적인 성격 특징으로는 권위를 따르고 싶어하며 자신도 권위를 가지고 싶어하며 다른 사람을 복종시키고 싶어한다고 한다. 이른바 '강약약강'이다. 사실 이러한 성격의 사람은 어느 조직에 가든 존재한다. 이분법적으로 안정과 자유로운 삶이 아니라, 어느 쪽을 선택하든 매사에 스스로 생각하고 선택한 것이라면 그것이 조금 더 자유롭고 행복한 삶이 아닐까 생각한다. 니체의 르상티망 르상티망은 약..

생각 2022.02.06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 말이 참 좋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말에는 참 많은 의미를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용기, 사랑, 희망, 관용, 배려, 용서. 세상 모든 아름다운 것들을 이 말에 담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절로 기분이 좋아진다.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어쩔 수 없이 마주치는 잔혹한 진실이 있다. 가령 "이 세상에 완벽한 내 편은 없다.", "영원한 것은 없다." "이게 현실이다." 같은 것들. 부정할 수 없는 또 하나의 진실이다. 그러나 삶을 살아가는 태도에 있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를 붙여보자. 절망, 분노, 우울, 회의, 이런 감정이 어느 날 다시 희망, 사랑, 기쁨,용기로 바뀌어있을지도 모른다. 불가항력적인 감정도, 마주치는 진실도 피할 수 없지만 삶의 태도만큼은 내가 정할 수 ..

생각 2022.02.06

삶의 주도권 - 자존감

삶의 주도권, 자존감 자존감이란 나 자신을 사랑하는 것. 맞는 말이다. 누가 모르겠나. 하지만 나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나는 이렇게 말하고 싶다. '자기 정체성'을 바로 세우는 것이라고. 과거와 달리, 오늘날은 모든 것에 선택권이 주어지게 되었다. 사람들은 보다 자유로웠지만 역설적으로 수많은 선택 앞에서 주체성을 잃고 대다수가 동조하는 경향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오늘날에는 많은 사람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많은 착각을 하고 살아간다. 외부의 정체성을 자기 것으로 가져와 마치 자기의 정체성, 자기의 가치관인 것 마냥 착각한다. 남들과 비슷하게 살고 싶다는 그 욕망에서 비롯된 그 착각은 종국에는 무력감과 당혹감을 낳는다. 예상치 못하게 행복하지 않은 자신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그럴..

생각 2022.02.05